2024.06.02 (일)

  • 맑음속초15.1℃
  • 맑음14.3℃
  • 맑음철원14.0℃
  • 맑음동두천14.6℃
  • 맑음파주14.5℃
  • 맑음대관령8.6℃
  • 맑음춘천15.3℃
  • 맑음백령도16.2℃
  • 구름조금북강릉15.0℃
  • 구름조금강릉14.2℃
  • 맑음동해15.0℃
  • 맑음서울16.7℃
  • 맑음인천17.2℃
  • 맑음원주16.3℃
  • 구름조금울릉도14.8℃
  • 맑음수원16.4℃
  • 맑음영월14.3℃
  • 맑음충주15.3℃
  • 맑음서산16.3℃
  • 맑음울진15.3℃
  • 맑음청주16.8℃
  • 맑음대전15.9℃
  • 맑음추풍령15.5℃
  • 구름많음안동14.3℃
  • 맑음상주16.7℃
  • 구름조금포항16.9℃
  • 구름많음군산14.7℃
  • 구름많음대구16.8℃
  • 구름조금전주15.5℃
  • 박무울산16.6℃
  • 구름조금창원18.9℃
  • 구름많음광주16.7℃
  • 구름조금부산17.9℃
  • 구름조금통영17.4℃
  • 구름많음목포16.3℃
  • 구름많음여수18.2℃
  • 흐림흑산도17.1℃
  • 흐림완도17.1℃
  • 구름많음고창15.4℃
  • 구름많음순천15.3℃
  • 맑음홍성(예)15.3℃
  • 맑음14.4℃
  • 흐림제주17.9℃
  • 흐림고산17.3℃
  • 구름많음성산17.9℃
  • 흐림서귀포20.4℃
  • 구름조금진주16.3℃
  • 맑음강화16.5℃
  • 맑음양평14.6℃
  • 맑음이천15.8℃
  • 맑음인제12.8℃
  • 맑음홍천13.4℃
  • 맑음태백11.7℃
  • 맑음정선군11.8℃
  • 맑음제천14.1℃
  • 맑음보은13.1℃
  • 맑음천안14.8℃
  • 구름조금보령16.4℃
  • 구름조금부여13.4℃
  • 구름많음금산13.2℃
  • 맑음15.0℃
  • 구름많음부안15.8℃
  • 구름많음임실12.8℃
  • 구름많음정읍15.1℃
  • 구름조금남원12.7℃
  • 구름많음장수10.9℃
  • 구름많음고창군13.8℃
  • 구름많음영광군15.8℃
  • 구름조금김해시18.2℃
  • 구름많음순창군13.6℃
  • 구름조금북창원19.6℃
  • 구름조금양산시17.8℃
  • 구름많음보성군17.1℃
  • 흐림강진군17.1℃
  • 흐림장흥16.1℃
  • 흐림해남17.2℃
  • 흐림고흥17.6℃
  • 구름조금의령군15.6℃
  • 구름많음함양군
  • 구름많음광양시17.3℃
  • 흐림진도군16.4℃
  • 맑음봉화12.6℃
  • 맑음영주14.4℃
  • 맑음문경16.6℃
  • 맑음청송군13.0℃
  • 구름조금영덕16.5℃
  • 맑음의성13.7℃
  • 구름조금구미17.8℃
  • 구름많음영천14.4℃
  • 구름조금경주시16.4℃
  • 구름많음거창12.8℃
  • 구름많음합천14.7℃
  • 구름많음밀양16.6℃
  • 구름많음산청14.6℃
  • 구름조금거제17.9℃
  • 구름많음남해18.6℃
  • 구름조금17.7℃
<특집> 우리 고장 무안향교를 찾아서(2)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 특집

<특집> 우리 고장 무안향교를 찾아서(2)

<특집> 우리 고장 무안향교를 찾아서(2)

 

1. 무안향교의 역사

 

향교는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지방에 설립한 국가교육기관이다.

1394년(태조 3)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처음에는 성의 남쪽에 있는 공수산(控壽山) 언덕에 설립하였는데 호랑이의 침해가 심하여 1470년(성종 1)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임진왜란으로 황폐해진 것을 1689년(숙종 15) 대대적으로 중수하여 복원하였다. 그뒤 1790년(정조 14)·1820년(순조 20)·1892년(고종 29)·1902년에 각각 보수하였고, 광복 후에도 네 차례에 걸쳐 복원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정면 4칸과 측면 4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대성전, 정면 3칸과 측면 3칸의 명륜당, 동재(東齋)·서재(西齋)·내삼문(內三門)·동별실(東別室)·제기고(祭器庫)·외삼문(外三門)·협문·고사(庫舍)·삼강문(三綱門)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2현(宋朝二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건축형태는 앞쪽에는 강학 공간인 명륜당이, 뒤쪽에는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있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이다. 현 건물들은 조선 후기 이후에 점차적으로 지어진 것이다. 조선시대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 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조선 후기 이래 향교는 교육 기능이 쇠퇴하고 대신 선현에 대한 제향을 통한 교화 기능을 주로 담당하였다.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하고, 초하루와 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무안향교는 1985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향교의 운영을 담당한다. 현재의 무안향교 명륜당 앞에는 수령이 약 600년 된 은행나무가 무안향교의 유구한 역사를 말해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성균관이나 향교의 대성전에는 공자를 포함한 39명의 성현이 모셔져 있다. 39명의 성현은 공자를 비롯하여 4성(안자, 증자, 자사, 맹자), 10철(민손, 염경, 염옹, 재여, 단목사, 염구, 중유, 언언, 복상, 전손사), 송대의 6현(주돈이, 정이, 장재, 정호, 소옹, 사마광), 우리나라의 18현(설총, 최치원, 안유, 정몽주,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 김인후, 이이, 성흔, 김장생, 조헌, 김집, 송시열, 송준길, 박세체) 등이다.

 

2. 사진으로 보는 무안향교

 

⓵무안 향교 정문

21.png

 

⓶하마비 : 大小人員過此者皆下馬 "대소인원(사람) 모두, 이곳을 지나가는 자는 말에서 내리라" 서원이나 향교의 홍살문 앞에 세우는 비석으로 말이나 가마에서 내리라는 표시이다. 하마비(下馬碑)에는 대개 '대소인원개하마(大小人員皆下馬)'라고 쓰여 있는데 여기서 인(人)과 원(員)은 모두 사람을 지칭하는 대명사로 인(人)은 관직이 없는 사람이고 원(員)은 관직이 있는 사람을 뜻한다. 그 아래로는 명(名)과 구(口)가 있는데 서원이나 향교에 올 정도면 인이나 원 정도의 등급이었음을 알 수 있다.

22.png

 

⓷명륜당 : 성균관 안에서 유학을 가르치던 곳.

23.png

 

⓸동재 : 성균관이나 향교, 서원의 명륜당 앞 동쪽에 있는 집으로, 유생들이 글공부하던 곳.

24.png

 

⓹서재 : 조선 시대 전통적인 교육 기관인 성균관이나 향교•사학•서원에 딸린 학생들의 숙소 또는 학습장소. 성균관에는 강당인 명륜당(明倫堂)을 중심으로 앞쪽, 좌우에 동재와 서재를 설치했다.

25.png

 

⓺장서각 : 서고(오늘날의 도서관에 해당함)

26.png

   

⓻⓼대성전 : 위폐를 모시는 곳. 문묘의 시설 중 공자와 관련 인물들의 위패를 안치한 건물. 문묘나 향교에서 가장 귀한 건물이라 맨 안쪽에 위치한다. 봄·가을에 제사를 지낸다. 한국의 문묘는 거의 향교 안에 설치되었으므로 향교의 시설이기도 하다. 처음에는 대성인(大聖人)을 모신 곳이라 해서 대성전(大聖殿)이라 했는데, 중국 사신이 공자는 온갖 학문을 집대성(集大成)하였으므로 대성전(大成殿)이라 부르는 것이 옳다고 하여 변경되었다.

27.png

 

28.png


⓽보호수 : 무안군은 지난 1982년 12월 대성전 계단 앞 600년 된 은행나무를 보호수로 지정했다.

29.png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